카테고리 없음

예비군 훈련가면 하는것

디엔_ 2023. 5. 13. 15:30
반응형

예비군 훈련은 유사시 개인 및 부대의 임무에 따라 동원절차 숙지 및 동원 후 전투력 발휘보장과 임무수행을 위한 능력 구비를 위하여 실시합니다.




예비군 훈련은 1~4년 차와 5~6년 차에 따라 받아야 할 훈련량도 다르고, 게다가 같은 1년 차라도 동원훈련이냐 동미참훈련이냐에 따라 또 훈련받는 방법이나 시간이 달라집니다. 그리고 동원지정과 미지정은 매년 변동사항이 생깁니다.




예비군 훈련은 예비군 훈련소에서 진행되며, 훈련 내용은 기본훈련, 동원훈련, 작계훈련, 동미참훈련, 민방위훈련, 체력단련훈련, 기타 훈련으로 나뉩니다.




기본훈련은 예비군 편성 후 처음으로 받는 훈련으로, 15일간 진행됩니다. 기본훈련에서는 소총사격, 화생방, 구급법, 전투체조, 행군, 제식훈련 등 군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훈련을 받습니다.




동원훈련은 유사시 동원될 예비군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훈련으로, 2박 3일간 진행됩니다. 동원훈련에서는 동원소집 절차, 전투태세, 부대관리, 지휘통제, 작전훈련 등 동원된 후 수행해야 할 임무에 대해 훈련을 받습니다.




작계훈련은 특정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하는 훈련으로, 1박 2일간 진행됩니다. 작계훈련에서는 특정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전투태세, 부대관리, 지휘통제, 작전훈련 등 특정 작전에 대해 훈련을 받습니다.




동미참훈련은 민방위대와 예비군이 함께 실시하는 훈련으로, 4일간 진행됩니다. 동미참훈련에서는 민방위와 예비군의 임무, 재난대비, 구급법, 전투체조, 행군, 제식훈련 등 민방위와 예비군이 함께 수행해야 할 임무에 대해 훈련을 받습니다.




민방위훈련은 민방위대원이 받는 훈련으로, 1일간 진행됩니다. 민방위훈련에서는 민방위와 예비군의 임무, 재난대비, 구급법, 전투체조, 행군, 제식훈련 등 민방위와 예비군이 함께 수행해야 할 임무에 대해 훈련을 받습니다.




체력단련훈련은 예비군이 받는 체력단련 훈련으로, 1일간 진행됩니다. 체력단련훈련에서는 체력단련, 전투체조, 행군 등 예비군이 갖추어야 할 체력을 단련합니다.




기타 훈련은 예비군 훈련 중에서 위의 훈련을 제외한 모든 훈련을 말합니다. 기타 훈련에는 장비교육, 전투장비 조작훈련, 통신훈련, 유격훈련, 특수전훈련 등 예비군이 갖추어야 할 다양한 훈련이 포함됩니다.




예비군 훈련은 예비군의 임무 수행 능력을 향상하고, 유사시 국가를 지키기 위해 실시하는 중요한 훈련입니다. 예비군은 예비군 훈련에 성실히 임하여 국가를 지키는 데 동참해야 합니다.


반응형